본문 바로가기

코딩18

[CSS] 글자에 테두리 넣는 방법 텍스트에 스트로크 넣는 방법 CSS를 이용해 글자에 테두리 효과를 주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글자에 테두리를 넣어 사용자의 시선을 끌 수 있고, 텍스트의 가독성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CSS를 활용해 글자에 테두리를 주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webkit-text-stroke로 글자 외곽선 만드는 방법-webkit-text-stroke는 CSS에서 글자에 외곽선을 그려주는 속성입니다. 이 속성은 WebKit 기반 브라우저(예: Chrome, Safari, Edge 등)에서만 동작하며 글자의 외곽선 굵기와 색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속성을 사용하면 그림자 효과 없이도 선명한 글자 테두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 -webkit-text-stroke: ;h2 { color: white; -webk.. 2025. 4. 14.
colorthief에 타입 선언하는 방법 타입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방법 ColorThief란?ColorThief는 이미지에서 주요 색상(dominant color)과 색상 팔레트(palette)를 추출하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주로 브라우저 환경에서 HTMLImageElement를 이용해 작동하며, Node.js 환경에서는 직접 사용할 수 없습니다. ColorThief는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타입을 선언해줘야 합니다. npm i colorthiefimport ColorThief from "colorthief";colorthief를 설치하고 import하면 타입 에러가 발생합니다. import ColorThief from "colorthief"; - Could not find a declaration file for module 'color.. 2025. 3. 18.
XSS 공격이란? XSS(Cross-Site Scripting,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란?XSS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악성 스크립트를 실행시키는 공격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 입력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으면 악성 스크립트가 포함된 입력이 웹 페이지에 그대로 출력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댓글이나 게시글 작성할 때 악성 스크립트를 입력하면 스크립트가 웹 페이지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여는 순간 코드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실행된 악성 스크립트는 사용자의 정보를 훔치거나 웹사이트를 조작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악성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등의 악의적인 행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XSS 공격.. 2024. 11. 8.
인터넷 접속할 때 http와 https의 차이점 HTTP와 HTTPS는 두 프로토콜 모두 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지만, 보안성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HTTP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를 텍스트 형태로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HTTPS는 HTTP에 보안 계층을 추가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HTTPS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때문에 HTTP보다 안전한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장점이 존재해 HTTPS 사용이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HTT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암호화하지.. 2024. 11. 6.